인지위덕(忍之爲德) (참는것이 덕(悳)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여우가 살았다.
여우는 근처(近處) 농부(農夫)집에 몰래 들어가 닭을 물어갔다.
농부는 "오죽배가 고팠으면 그러랴" 생각(生覺)하고 참기로 했다.
이튼날 또 여우가 나타나 이번에는 오리를 훔처갔다.
농부는 한번 더 참기로 했다.
얼마후(後) 여우가 또 찾아와서 닭을 물어가자
농부는 화(火)가 나서 덫을놓고 마침내 여우를 잡았습니다.
농부는 그냥 죽이는것이 분(憤)이 풀리지 않아
여우 꼬리에 짚을 묶어 불을 붙였습니다.
여우는 고통(苦痛)을 견디지못해 이리저리 발광(發狂)하는 모습을 보며
농부는 기분(氣分)이 좋았는데요.
그러나 여우가 뛰어 간곳은 농부가 1년내내
땀흘려 농사(農事)지은 밀밭 이였다.
여우가 지날때 마다 불길이 번졌고
밀밭은 순식간(瞬息間)에 다 타버리고 말았지요.
"쇠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
"쥐를 잡으려다 장독 깬다"
"빈대 한마리 잡으려다 초가삼간(草家三簡) 다태운다" 라는
속담(俗談)이 있습니다.
자신(自身)을 화(火) 나게 한 상대(相對) 에게
자제심(自制心)을 잃고 복수(復雠)를 했을때
그 행위(行位)로 인한 화가 결국(決局)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말이지요.
사람은 약(弱)하고 완전(完全)하지 않기 때문에
충동(充動)을 억제(抑制)하지 못할 때도 많습니다.
그러나 노(怒)한 감정(感情) 으로 말하고 행동(行動) 한다면
그 책임(責任)은 자신에게 돌아 온다는 것이지요.
'인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보다 못한 놈, 개보다 못한 자식! (0) | 2020.06.06 |
---|---|
방향성 (0) | 2020.06.06 |
원칙과 배려 사이에서 고민스러울때 (0) | 2020.06.04 |
늙어갈 용기 (0) | 2020.06.04 |
안부 : 인생 삼여 (0) | 2020.06.04 |